B / Y / U / S
HOME 웹 호스팅 도메인 매뉴얼 고객지원 설정정보 계정신청 2025-05-24 Saturday 
웹 호스팅
# 공지 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질문과 답변
# 가입 문의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 리눅스팁
# 아이큐 테스트
# 내홈 소개
# 겔러리
# 자료실

  리눅스팁  Go Unix Power Tools Online Book Go Bash Guide
Read No. 132 article 2002-03-17 11:09:52
NickName   풀비누
Subject   [리포트] IGRP 프로토콜
리포트
학번: 19611925
이름: 손희태

IGRP( Internet Gateway Routing Protocol )

 IGRP 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동적 라우팅 개념이 생겨난 배경부터 
알아야 할 것이다. 대규모의 사내네트웍, 즉 인트라넷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경
로의 최신 정보를 유지하는 일을 게이트 웨이 라우팅 시스템에게 위임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로 정보는 광역 네트워크 환경에서 링크가 빈번하게 생겼다 사
라졌다 하는 것처럼, 어쩌면 매우 일시적인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게이트웨
이 시스템에서 이러한 라우팅 경로를 정적 라우팅 처럼, 수동으로 일일히 라우
팅 테이블을 유지 보수 갱신한다는 것은 실용적이지 않을 뿐더러, 인력자원 낭
비가 심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빠른 라우팅 정보를 각 사내 네트웍 환경
에 전파하기 위해서, 동적 라우팅을 도입하였고, 이러한 경로 정보를 로컬 시
스템 들에게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최신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소규모 회사에서는 정적 라우팅 방법으로도 충분히, 변화
된 경로 정보를 갱신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적 라우팅은 새로운 네트워
크를 추가하거나 링크를 훼손한 경우, 수정되며, 여러 경로의 같은 목적지를 
발견하는 경우, 최상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 갱신은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라우팅 데몬의 정책에 의하여 수행된다. 
 한 국가의 언어가, 그 나라의 의사소통을 전담하는 것처럼, 라우터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 통신을 한다. 이런 프로토콜이 수년간 발전을 거듭
하면서, 각 네트웍 제조사 마다, 특화된 프로토콜을 설계하게 되었는데, 그 과
정중 시스코 라우터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개발된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이 
IGMP 프로토콜인 것이다. IGMP 프로토콜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이 두가지 종
류의 트로토콜의 특성을 잠깐 확인하고, IGMP 프로토콜의 특성을 알아보자.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로는 크게 링크-상태 프로토콜과 벡터-거리 프로토콜
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프로토콜은 집중성과 일관성 보안/인증
이 요구 된다. 즉 경로 변경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갱
신된 라우팅 정보가 하부 네트웍에게 신속하게 전달되며, 갱신되어야 할 것이
다. 또한 라우팅 테이블을 갱신하는 과정에서, 타 네트워크의 공격자로부터 라
우팅 테이블의 정보를 보호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링크-상태 프로토콜과 백
터-거리 프로토콜은 크게 라우터 간에 통신하는 정보의 종류가 다르며, 라우
팅 테이블의 갱신 정보를 이용하는 방식이 다르다. 많은 경우, 링크-상태 프로
토콜이 백터-거리 프토토콜을 대체하게 되었다. 
 백터-거리 프로토콜은 라우터에서 라우터로 네트워크를 건너 경로를 전달한
다. 이 라우팅 테이블의 첫째열은 목적지 즉 벡터값이고, 둘째는 메트릭 즉 거
리값을 가지고 있다. 라우팅 갱신에서 목적지가 라우팅 테이블에 없으면 새로
운 경로를 추가 하게 되며, 라우팅 갱신이 훨씬 짧은 라우트를 열거하면 라우
팅 테이블 내의 해당 경로로 대체를 하게 된다. 라우팅 갱신이 좀더 긴 경로
를 열거하면 라우터는 현재 라우팅 테이블을 전송하는 경로를 경유해 전송한
다. 이러한 백터-거리 프로토콜의 대표격이 RIP 프로토콜이며, 유닉스 시스템
에서 이용할 수 있게 RIP 를 구현하게 되어, 광범위하게 배포되었다. 
 링크-상태 프로토콜은 좀더 고급화딘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이 방식은 벡터-
거리 프로토콜의 라우러 상호간에 경로를 전달하는 방식과는 달리, 각각의 라
우터가 독립적으로 경로를 계산하며, 전체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 그래프를 구
축하여, 목적지까지 가는 가장 짧은 경로를 계산 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우리가 알아볼 IGRP 라우팅 프로토콜은 유닉스 계열에서 쓰이는 RIP 라우팅 
프토토콜과 유사하며, 벡터-거리 프로토콜 방식을 개선한 시스코 라우터들 간
의 통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다. 즉 벡터-거리 프로토콜에서 알아본 것과 같
이, 이 IGRP 프로토콜의 라우팅 테이블 갱신 방법은, 다른 게이트웨이 라우터
들과 서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게이트웨이 라우터들이 자신의 라우팅 테
이블을 갱신하게 된다. 인접한 라우터 들과 상호 통신하는 과정중에 수정된 라
우팅 정보를 입수하게 되면,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
여, 최신의 라우팅 정보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IGRP 프로토콜의 특징을 보게 되면, 첫째, 경유하는 라우터 홉의 개수
에 제한이 없어서, 대규모의 네트워크게 적합하다. 즉 라우터를 다수 보유하
고 있는 대규모의 네트웍 구축시에도, 안정된 라우팅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메트릭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가장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게 된
다. 여기서 말하는 메트릭 정보에는 대역폭, 시간 지연, 신뢰도, 부하정도, 
MTU 정보등이 있다. 이런 메트릭 정보를 분석하여, 코스트를 계산하여, 최적
의 경로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로, 네트웍의 변화가 생기면, 해당 정보
가 라우터에게 전달되어, 빠른 갱신을 할 수 있게 되며, 라우터간에 90초 간격
으로 업레이트 정보를 주고 받는다.여기서 RIP 프로토콜과 차이를 보이게 되는
데, RIP 프로토콜은 네트웍에 변화가 생기면, 즉각 반영되지 않고, 90초 간격
으로 라우터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게 되어, IGRP 와는 대조적으로 지연현상
이 발생하게 된다.  넷째로 다양한 경로의 라우팅을 제공하며, 마지막으로, 라
우팅 서버의 설정과 운영이 간단하며, 시스템 자원을 많이 소모하지 않은 특징
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중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메트릭 정보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
아보자.
	회선 속도(Bandwidth)
회선속도는 수도관 파이프로 이해하면 쉬울 것이다. 즉 손까락 굵기의 파이프 
보다 팔뚝 굵기의 파이프가 물을 한번에 이동시킬수 있는 능력이 큰 것이다. 
그러나, 굵은 파이프라도 이미 이용량이 포화 상태라면, 가는 파이프만 못할 
것이므로, 라우터 역시, 높은 사용량의 회선보다 낮지만 더 빠른 전송능력을 
가진 회선을 선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	 전송 지연(Delay)
여기서 말하는 전송지연은 전송할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을 의미한다. 전송 지연현상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네트웍의 회선
속도와, 네트웍 사용량, 경로에 있는 각 라우터 간의 경로 길이, 그리고 물리
적인 회선의 거리등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라우터가 경로를 선택하는
데, 최적의 경로를 찾기 위해 신뢰하는 정보가 된다.
	회선 신뢰도(Relability)
회선 신뢰도는 네트웍내 각 링크 포인트의 비트-에러율을 참고한다. 각 링크
의 회선 결선도, 복구지연 시간등. 라우터에 의해 동적으로 계산되어 갱신된
다.
	회선 부하(Load)
회선 부하정도는 라우터나 각 링크의 네트웍 자원이 얼마나 사용되는지를 알려
준다. CPU 사용량과, 각 라우터의 초당 패킹 처리량등 다양한 측정에 의해 동
적으로 계산된다. 
	경로 수(Hop Count)
하나의 홉이 의미하는 것은 하나의 라우터를 경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홉수
가 커지면, 그만큼 라우터를 많이 거쳤다는 뜻이 된다. 일반적으로 가장 적은 
홉수 혹은, 경로 수를 가진 정보가 가장 좋은 경로로 볼 수 있다.
	최대 전송 단위 (MTU)
네트웍과 네트웍 사이를 거치면서, 한번에 이동 가능한 전송 단위는 변화할 
수 있다. 즉 각 네트워크에서 최대 전송 단위가 틀려지면, 패킷이 분할되거나 
재결합 되는 동안, 지연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	비용 (Cost)
비용은 위에서 열거한 각 네트웍 정보를 특정의 계산 식을 가지고, 패킷을 송
수신 하는데 드는 최적의 비용을 선택하는 것이다. 즉 비용이 적는 것이 최적
의 목적지 까지 가능 경로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최적 경로 설정과 함께, IGRP 포르토콜은 다양한 경로를 지원하여, 경
로에 대한 로드 벨런싱을 지원한다. 이는 복합 메트릭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
가 같다고 판단되면, 두개 이상의 경로에 대해 트래픽을 분살시킬 수 있는 것
이다. 예로 1메가와 2메가의 전송 라인 사이에서, 각 라인에 대해 1:2 비율로 
분산하여, 패킷을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 전송에 있어
서 다양한 타입을 지원할 수 있으며, 최적 경로 설정에 있어서, 좀더 정확도
를 향상 시킬수 있는 바탕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다양한 타입이란 텔넷의 터
미널 통신과 같이, 신속한 응답이 중요한 패킷과, ftp 와 같이 빠른 전송속도
를 필요로 하는 패킷을 구분하여, 매트릭 계산시, 중요도를 달리하여, 상대적
으로 반영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Regist Addr [ 192.168.0.2 ] 목록보기 윗글 아랫글
정규표현식 [ 상세 검색 ]
Page Loading [ 0.03 Sec ] SQL Time [ 0 Sec ]

Copyleft 1999-2025 by JSBoard Open Project
Theme Designed by IDOO And follow GPL2

개인정보 취급방침 이용 약관 사이트 맵 어드민 관리